아크레 공방전 (1291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크레 공방전 (1291년)은 1187년 하틴 전투 이후 맘루크 술탄국이 십자군 국가에 대한 공세를 강화하는 가운데, 1291년 맘루크 술탄 알 아슈라프 칼릴이 아크레를 공격하여 벌어진 전투이다. 십자군은 유럽의 지원을 요청했으나 미미한 지원만을 받았고, 맘루크 군의 압도적인 병력과 공성 무기에 밀려 5월 18일 아크레가 함락되었다. 이로 인해 예루살렘 왕국은 멸망하고 십자군의 주요 거점은 모두 상실되었으며, 십자군 시대가 종말을 맞이하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맘루크 술탄국이 참가한 전투 - 디우 전투
1509년 디우에서 벌어진 디우 해전은 포르투갈이 구자라트 술탄국, 맘루크 왕조, 캘리컷 연합군에 승리하여 인도양 해상권을 장악하고 인도 진출과 향신료 무역 독점의 발판을 마련한 세계사적으로 중요한 해전이다. - 맘루크 술탄국이 참가한 전투 - 아인잘루트 전투
아인잘루트 전투는 1260년 9월 3일 팔레스타인에서 맘루크 술탄국군이 몽골 제국군을 격파하여 몽골 제국의 서진 확대를 저지하고 맘루크 왕조가 중동을 지배하는 계기가 된 전투이다. - 십자군의 전투 - 하틴 전투
하틴 전투는 1187년 7월 4일 하틴 언덕에서 십자군과 살라딘의 이슬람 군대 간에 벌어진 전투로, 십자군의 패배와 예루살렘 함락을 야기하여 제3차 십자군을 촉발했다. - 십자군의 전투 - 라스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
1212년 7월 16일 스페인에서 벌어진 라스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는 기독교 연합군이 무와히드 왕조를 격파하고 이베리아 반도에서 이슬람 세력 쇠퇴를 가속화시킨 결정적인 전투이다.
아크레 공방전 (1291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정보 | |
분쟁 | 십자군 전쟁 |
전투 | 아크레 공방전 |
시기 | |
날짜 | 1291년 4월 4일 – 1291년 5월 18일 |
장소 | |
위치 | 아크레, 예루살렘 왕국 |
결과 | |
내용 | 맘루크의 승리 |
상세 결과 | 십자군 국가의 붕괴 |
교전 세력 | |
교전 1 | [[File:Mameluke_Flag.svg|22px]] 맘루크 왕조 아이유브 잔존 에미리트 of 하마 |
교전 2 | [[File:Vexillum Regni Hierosolymae.svg|border|22px]] 예루살렘 왕국 [[File:Cross of the Knights Templar.svg|18px]] 템플 기사단 [[File:Cross of the Knights Hospitaller.svg|18px]] 성 요한 기사단 [[File:Insignia Germany Order Teutonic.svg|18px]] 튜ートン 기사단 [[File:Cross saint thomas 1236.png|18px]] 성 토마스 기사단 성 라자로 기사단 |
지휘관 및 지도자 | |
맘루크 왕조 | 알-아슈라프 할릴 후삼 앗딘 라진 알-무자파르 3세 마흐무드 바이바르스 알-만수리 시라즈 앗딘 다비안 사이프 앗딘 빌반 |
예루살렘 왕국 연합군 | 앙리 2세, 예루살렘과 키프로스의 왕 티레의 아모리 기욤 드 보주 티보 고딘 피에르 드 세베리 장 드 빌리에 마티외 드 클레르몽 콘라트 폰 포이히트방겐 오토 드 그랑송 장 1세 드 그라이 |
병력 규모 | |
맘루크 왕조 | 불명 |
예루살렘 왕국 연합군 | 아크레: 15,000명 키프로스: 700명 |
사상자 및 피해 규모 | |
맘루크 왕조 | 불명 |
예루살렘 왕국 연합군 | 10,000명 이상 |
이미지 | |
![]() |
2. 배경
1187년, 살라딘이 이끄는 아이유브 왕조 군대가 하틴 전투에서 십자군에게 큰 승리를 거두면서 예루살렘을 포함한 십자군 국가의 상당 지역이 이슬람 세력에게 넘어갔다. 제3차 십자군은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조직되었으며, 1191년 아크레 공방전 (1189-1191) 끝에 아크레를 재탈환하였다. 이후 아크레는 예루살렘 왕국의 실질적인 수도가 되었다. 아크레에는 여러 종교 기사단들이 본부를 두고 군사적, 외교적 결정을 내렸다.
13세기 중반, 몽골의 서진은 십자군에게 새로운 변수가 되었다. 십자군은 몽골을 잠재적 동맹으로 간주하기도 했지만, 맘루크 술탄국과의 관계에서 신중한 중립을 유지하려 했다. 1260년, 아인잘루트 전투에서 맘루크 군대가 몽골군을 격파하면서 맘루크 술탄국의 위상이 크게 강화되었다.[5]
1261년부터 맘루크 술탄 바이바르스는 십자군 국가에 대한 공세를 강화하여 카이사레아 마리티마, 하이파, 아르수프 등을 점령하고, 1268년에는 안티오키아를 함락시켰다.[6]
유럽에서는 제8차 십자군과 제9차 십자군 등 소규모 십자군 원정이 있었지만, 십자군 국가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했다. 너무 작고, 너무 짧았으며, 참가자들의 이해관계가 너무 다양했기 때문이다.[7] 교황 그레고리오 10세는 대규모 십자군 원정을 추진했으나 실패했다. 이는 유럽 군주들의 무관심, 십자군 이상(理想)의 훼손, 교황권의 남용 등 복합적인 요인 때문이었다.[8]
1276년, 예루살렘 왕 키프로스의 위그 3세는 키프로스로 궁정을 옮겼다.[9] 1289년, 맘루크 술탄 알만수르 칼라운은 트리폴리를 점령했다. 예루살렘의 앙리 2세는 유럽에 지원을 요청했으나, 시칠리아 만종 전쟁 등 유럽 내부의 문제로 인해 큰 호응을 얻지 못했다.[12] 수십 년에 걸친 유럽인과 몽골 간의 의사소통은 의미 있는 프랑코-몽골 동맹을 확보하는 데 실패했다.[13][14]
1290년, 아크레에서 무슬림 상인들이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하자,[11] 칼라운은 이를 구실로 아크레 공격을 준비했다. 칼라운은 1284년에 예루살렘 왕국과 10년 휴전을 맺었지만[10], 이 사건으로 휴전협정은 무가치한 것으로 여겼다.
3. 공성전의 전개
1290년, 술탄 콸라운은 아크레와의 휴전을 파기하고 원정을 준비했으나 11월에 사망했고, 그의 아들 알 아슈라프 칼릴이 뒤를 이었다.[91] 칼릴은 1291년 3월 카이로를 출발하여 아크레로 향했다.[18] 맘루크 군대는 이집트, 다마스쿠스, 하마, 트리폴리, 알 카라크 등에서 온 병력으로 구성되었으며, "승리자"(المنصورىar), "격노한 자"(الغاضبةar)라는 거대한 투석기와 "검은 황소"(الثيران السوداءar)라는 가벼운 망고넬 등 상당한 규모의 공성 무기를 보유했다.[18][26][23][24]
1291년 4월 6일, 맘루크 군대는 아크레에 도착하여 도시를 포위했다.[1][18] 십자군은 유럽에 지원을 요청했으나, 잉글랜드와 키프로스에서 소수의 병력만이 파견되었다.[29][18] 5월 4일, 키프로스의 앙리 2세가 증원군을 이끌고 도착했으나,[32][18] 전세는 이미 맘루크 군대에게 기울어져 있었다.
5월 17일, 십자군은 맘루크 술탄과 협상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32] 5월 18일, 맘루크 군대는 총공격을 개시하여 도시 성벽을 돌파하고 시내로 진입했다. 십자군은 격렬하게 저항했으나, 조직적인 방어는 무너지고 혼란 속에서 많은 이들이 학살당하거나 포로로 잡혔다.[37][38] 템플 기사단은 해안가의 요새에서 10일간 더 저항했으나, 결국 함락되었다.
3. 1. 십자군 측의 방어 노력
십자군은 유럽 각국에 지원을 요청했지만, 대부분 내부 문제로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잉글랜드는 오토 드 그랑송 등 소수의 기사만 파견했다.[29] 키프로스 왕국의 앙리 2세는 성벽을 요새화하고 그의 형제 티레의 아말릭이 이끄는 군대를 파견했다.[18] 독일 기사단 총장 부르차르트 폰 슈반덴은 갑작스럽게 사임하고 유럽으로 돌아갔고, 콘라트 폰 포이히트방겐이 그의 뒤를 이었다.[18] 제노바는 칼릴과 별도의 조약을 체결하고 십자군 지원에서 이탈했다.[18] 많은 여성과 어린이가 아크레에서 키프로스로 대피했다.[18]
3. 2. 맘루크 군대의 공격
맘루크 군대는 십자군보다 훨씬 많은 병력을 동원했으며, 다양한 지역에서 온 부대로 구성되었다. 술탄 칼릴과 이집트군은 1291년 4월 6일에 아크레에 도착했고,[1][18] 2일 뒤에는 시리아 병력이 공성 무기와 함께 도착했다.[1] 맘루크족 야영지는 도시 성벽에서 약 2km 떨어진 곳에서 한쪽 해안에서 다른 쪽 해안까지 펼쳐져 있었다. 술탄의 개인 텐트이자 본부였던 붉은 ''디흘리즈''는 레가테 탑 서쪽의 작은 언덕에 있었다.[1]
맘루크 군대는 투석기, 망고넬 등 다양한 공성 무기를 활용하여 성벽을 공격했다. 포위자들이 캠프를 설치하는 동안 처음 8일 동안은 전투가 거의 없었다. 9일에서 11일 동안 맘루크군은 바리케이드를 밀고 울타리를 밀어 외벽 앞의 해자에 도달했으며, 신속 발사 공성 무기인 카라보스가 동원되었다. 포위자들은 굴을 파고 성벽을 폭격하기 시작했다.[1] 5월 18일까지 여러 개의 탑과 성벽 일부가 굴착으로 무너졌고, 해자 일부가 채워졌다. 왕의 탑 붕괴는 방어군에게 특히 사기를 떨어뜨렸다.[32]
3. 3. 도시 함락 과정
5월 18일 새벽, 맘루크 군대는 300마리의 낙타에 실린 나팔과 북소리를 내며 성벽 전체를 공격했다.[32][33][34] 맘루크 군은 성벽 틈새로 쏟아져 들어왔고, 오전 9시에는 승패가 결정되었다.[37] 맘루크 군은 내성벽의 저주받은 탑을 점령했고,[35] 십자군은 성 안토니우스 문으로 후퇴했다.[36] 기욤 드 보쥬는 성 안토니우스 문을 방어하다가 치명상을 입었다.[32] 몽무사르 성벽에서는 라자로회가 남아 있었고, 템플 기사단과 호스피탈 기사단은[38] 저주받은 탑을 탈환하려 했지만 실패했다.[36] 하만족이 몽무사르 성벽을 돌파하여 라자로회를 몰살시키면서 십자군이 성벽을 포기하자, 맘루크 군은 더 깊숙이 침투했다.[38]
맘루크 군은 도시 안으로 밀고 들어가 약탈을 자행하고,[38] 눈에 띄는 사람들을 학살했다.[37] 조직적인 십자군의 저항은 무너졌고, 항구와 배로 향하는 퇴로는 혼란에 휩싸였다.[37][38] 부유한 난민들은 안전한 통행을 위해 막대한 돈을 지불했다. 키프로스의 앙리 2세와 장 드 빌리에, 성 요한 기사단 대기사장은 배를 타고 대피한 사람들 중 일부였다. 악천후는 대피를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37]
4. 결과 및 영향
아크레 함락으로 예루살렘 왕국은 사실상 멸망했으며, 십자군의 주요 거점은 모두 상실되었다.[91] 십자군은 키프로스 섬으로 근거지를 옮겨 명맥을 유지했으나, 본토 회복은 불가능했다. 1365년 페트루스 1세가 이집트에 상륙하여 알렉산드리아를 약탈하는 등 마지막 노력을 기울였으나, 결국 십자군은 키프로스로 돌아갔다. 이후 수십 년 동안 추가적인 해안 습격이 있었지만, 1410–1411년에 맘루크 술탄국의 반격을 받았고, 1426년 키프로스는 맘루크의 종속국이 되었다.
구호기사단은 몰타 섬으로 옮겨 몰타 기사단으로 불리게 되었다. 성전기사단의 일부는 프랑스로 도피했다가 전원 고문되고 사형에 처해졌다. 튜튼 기사단과 성 토머스 기사단은 각각 모국인 신성로마제국과 잉글랜드 왕국으로 돌아갔다.
14세기 이후에도 니코폴리스 십자군과 같이 십자군 원정이 조직되었으나, 이는 예루살렘 탈환이 아닌 오스만 제국의 진출을 저지하기 위한 것이었다. 비록 14세기의 십자군이 성지 재탈환을 위한 전 단계로 오스만 투르크를 패배시키기 위한 활동에 착수하였지만, 그 이후의 어떤 십자군도 시리아나 팔레스타인을 공격할 시도를 하지 않았다.[91] 아크레 함락은 십자군 시대의 종말을 알리는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된다.
참조
[1]
서적
Folda (2005), p. 485
[2]
서적
Nicolle (2005), p. 39
[3]
웹사이트
The Siege of Acre: a monstrous blot on the Third Crusade
https://web.archive.[...]
2018-05-18
[4]
간행물
Acre, Siege of (1291)
https://books.google[...]
ABC-CLIO
[5]
웹사이트
Battle of Ayn Jalut | Summary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6]
서적
Crusader art in the Holy Land : from the Third Crusade to the fall of Acre, 1187–1291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서적
A Manual of Church History
[8]
서적
A Manual of Church History
[9]
서적
The Kingdom of Cyprus and the Crusades, 1191–1374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서적
The Citadel of Cairo
Brill
[11]
서적
Runciman (1951), p. 408
[12]
논문
Ending the War of the Sicilian Vespers
1969-12
[13]
간행물
"Western Europe and the Mongol Empire" in Encyclopedia of Mongolia and the Mongol Empire
[14]
논문
Christian Wives of Mongol Khans: Tartar Queens and Missionary Expectations in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11
[15]
서적
The History of the Crusades
https://books.google[...]
Redfield
1853
[16]
서적
Runciman (1951), p. 409
[17]
서적
Runciman (1951), pp. 410–411
[18]
서적
Claster (2009), p. 286
[19]
문서
[20]
문서
The Templar of Tyre, Gestes des Chiprois
[21]
문서
[22]
서적
Asili, p. 110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Asili, p. 110; Templar of Tyre, p. 105
[27]
문서
[28]
문서
Asli, p. 114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서적
Folda (2005), p. 486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문서
Templar of Tyre
[37]
서적
Folda
2005
[38]
서적
The Accursed Tower: The Fall of Acre and the End of the Crusades
Hachette Book Group INC.
2019
[39]
문서
Ludolph of Suchem
[40]
문서
Asili
[41]
문서
Templar of Tyre
[42]
서적
Crusade and Christendom: Annotated Documents in Translation from Innocent III to the Fall of Acre, 1187–1291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3
[43]
서적
The Templars: The Rise and Spectacular Fall of God's Holy Warriors
Head Of Zeus
2017
[44]
서적
The Templars: The Rise and Spectacular Fall of God's Holy Warriors
Head Of Zeus
2017
[45]
서적
The Templars: The Rise and Spectacular Fall of God's Holy Warriors
Head Of Zeus
2017
[46]
서적
The Templars: The Rise and Spectacular Fall of God's Holy Warriors
Head Of Zeus
2017
[47]
서적
The Accursed Tower: The Fall of Acre and the End of the Crusades
Hachette Book Group INC.
2019
[48]
문서
Ludolphi, Rectoris Ecclesiæ Parochialis in suchem
[49]
문서
Asili
[50]
문서
Ibn Taghri
[51]
서적
Acre 1291: Bloody Sunset of the Crusade
Osprey Publishing
2005
[52]
서적
Histoire littéraire de la France
https://books.google[...]
Imprimerie nationale
[53]
서적
Folda
2005
[54]
서적
Folda
2005
[55]
서적
Nicolle
2005
[56]
간행물
Acre, Siege of (1291)
https://books.google[...]
ABC-CLIO
[57]
서적
Runciman
1951
[58]
서적
The History of the Crusades
https://books.google[...]
[59]
서적
Runciman
1951
[60]
서적
Runciman
1951
[61]
서적
Claster
2009
[62]
문서
[63]
문서
The Templar of Tyre, Gestes des Chiprois
[64]
문서
[65]
문서
Asili
[66]
문서
The Templar of Tyre, Gestes des Chiprois
[67]
문서
[68]
문서
[69]
문서
Abu al-Fida
[70]
문서
[71]
서적
Zobdat al-Fikrah Fi Tarikh al-Hijrah ( 11 volumes )
[72]
문서
Asli, p.114
[73]
문서
Among these towers were the Tower of the Countess of Blois, the Accursed Tower, the Tower of the Legate, the Tower of the Patriarch, the Tower of St. Nicholas, the English Tower, the Germans Tower, the Tower of Henri II, the Tower of King Hugh and the Tower of St. Lazarus. Asili, p.113. Templar of Tyre, p.106/note2
[74]
문서
The English tower was built by Henry I. Asili, p.113
[75]
문서
The Tower of the Countess of Blois was built by the Countess of Blois. Asili, p.114
[76]
문서
Folda (2005), pp. 486
[77]
문서
Al-Maqrizi, p.223/ vol.2. Asili, p.118
[78]
문서
Michaud, ''ibid'', p.78
[79]
문서
The Accursed Tower was placed between the Tower of King Henri II and the Tower of the Teutonic Knights. Templar of Tyre, p.106. Asili, p.113
[80]
문서
Templar of Tyre, p.113
[81]
문서
Folda (2005), pp. 487
[82]
문서
According to Ludolph of Suchem (which seems exaggeration): "In Acre and the other places nearly a hundred and six thousand men were slain or taken, and more than two hundred thousand escaped from thence. Of the Saracens more than three hundred thousand were slain, as is well known even to this day." —From Ludolph of Suchem, p. 268-272
[83]
문서
Asili, p.120-121
[84]
문서
Ludolph of Suchem, p.268-272
[85]
문서
''Templar of Tyre'', pp. 104
[86]
문서
Ludolphi, Rectoris Ecclesiæ Parochialis in suchem, p.46
[87]
문서
Asili, p.123
[88]
문서
Ibn Taghri, p.9/ vol.8
[89]
문서
邦題は複数あるが「エジプトの百姓とその色白き子供たち(岩波文庫)」、「上エジプトの男とフランク人の妻(筑摩書房ちくま文庫)」、「カイロの領主シュジャーウ・アッディーン・ムハンマドと褐色男の物語(平凡社東洋文庫)」など。
[90]
서적
バートン版 千夜一夜物語10
筑摩書房
2004
[91]
서적
Acre 1291: Bloody sunset of the Crusading states
Osprey
2005
[92]
문서
Runciman, p.408
[93]
문서
Runciman, p.409
[94]
문서
Runciman, p.410-4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